2026학년도 수능은 '킬러문항' 배제 기조를 3년째 유지하며, 공교육 과정만으로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출제됩니다. 13일 김창원 수능출제위원장은 "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힌 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했으며,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을 충실히 반영했다"고 밝혔습니다. 또한 교육과정의 핵심적, 기본적 내용이라도 문항의 형태나 접근 방식을 새롭게 해 출제했다고 덧붙였습니다.
'공통+선택과목' 구조인 국어·수학 영역은 과목별 난이도 균형을 이뤄 선택에 따른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출제됩니다. 이과생이 사탐을 응시하는 '사탐런' 현상에 대해 김 위원장은 "지난해 수능과 모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 근거해 출제한다면 유불리 문제가 없을 것"이라며, 학생들이 어떤 과목을 선택하든 최선을 다했다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.
영역별로는 국어와 영어는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고, 수학과 탐구 영역 등은 사고력 중심 평가를 지향합니다. 필수인 한국사는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됩니다. EBS 연계율은 문항 수 기준 50% 수준이며, 특히 영어는 EBS 교재와 주제·소재만 유사한 다른 지문을 활용하는 '간접 연계' 방식으로만 100% 출제됩니다.
[출처] CBS노컷뉴스 박종환 기자 (cbs2000@cbs.co.kr)